애플 예찬2 : 사운드 작업
애플의 또 하나의 강점은 무료로 제공되는 수많은 사운드 샘플들이다. (물론 이것이 높은 가격의 한 원인인지도 모르겠다.) 다양한 효과음 뿐 아니라 연주곡들도 많이 제공되는데, 많은 곡들은 길이가 다른 세 개의 변주된 버전으로 제공된다. 이것은 내가 필요한 길이에 따라 골라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응용도 가능하다.
나는 첫 번째 비디오 작업에서, i-movie (비디오 에디팅 프로그램)에 제공되는 음악 샘플들을 이용했는데, 그 중 한 노래는 길이가 적당하지 않아 조정이 필요했다. 나는 50여 초의 길이가 필요했고, long, medium, short의 세 버전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. A,B 등의 문자는 특정 형태의 멜로디를 가리키고, 숫자는 변주를 의미한다. 즉 A2는 A1의 멜로디가 변주된 것 (악기가 추가되거나, 비트가 조금 바뀌는 등)으로 비슷한 멜로디에 같은 길이를 가진다.
“Investigation” long version (27.8초)
Sequence |
Drum1 |
A1 |
B1 |
A2 |
B2 |
C1 |
D1 |
C2 |
D2(ending) |
Time |
0~1.5 |
1.5~4.2 |
4.2~7.2 |
7.2~9.9 |
9.9~12.9 |
12.9~15.6 |
15.6~18.5 |
18.5~21.4 |
21.4~27.8 |
Length |
1.5 |
2.7 |
3 |
2.7 |
3 |
2.7 |
2.9 |
2.9 |
6.4 |
“Investigation” medium version (15.7초)
Sequence |
A3 |
B3 |
A4 |
B4 |
A5(ending) |
Time |
0~2.7 |
2.7~5.6 |
5.6~8.5 |
8.5~~11.3 |
11.3~15.7 |
Length |
2.7 |
2.9 |
2.9 |
2.8 |
4.4 |
“Investigation” short version (9.0초)
Sequence |
C3 |
D3 |
End |
Time |
0~2.4 |
2.4~5.8 |
5.8~9.0 |
Length |
2.4 |
3.4 |
3.2 |
나는 long ver.을 기준으로 앞부분을 반복시키고 short ver.을 잘라 반복해
넣음으로써 새로운 “Investigation”을 만들 수 있었다. 사운드 에디팅 프로그램 ‘사운드 포지’ (PC 용)를 사용하였다.
“Investigation” New Mix version (50.6초)
Sequence |
Drum1 |
A1 |
B1 |
A2 |
B2 |
A1 |
B1 |
A2 |
B2 |
Time |
0~1.5 |
1.5~4.2 |
4.2~7.2 |
7.2~9.9 |
9.9~12.9 |
12.9~15.6 |
15.6~18.6 |
18.6~21.3 |
21.3~24.3 |
Length |
1.5 |
2.7 |
3 |
2.7 |
3 |
2.7 |
3 |
2.7 |
3 |
C3 |
B3 |
C3 |
B3 |
C1 |
B1 |
C2 |
D2(ending) |
24.3~26.7 |
26.7~30.1 |
30.1~32.5 |
32.5~35.9 |
35.7~38.4 |
38.4~41.3 |
41.3~44.2 |
44.2~50.6~24.3 |
2.4 |
3.4 |
2.4 |
3.4 |
2.7 |
2.9 |
2.9 |
6.4 |
나는 두 번째 비디오 작업에서 사운드 트랙을 이용해 간단한 음악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, 좌우 트랙을 분리하여 스테레오 사운드를 만들었다. 추가로 비트 위주의 한 트랙을 따로 녹음함으로써 실제 전시에서는 세 개의 사운드가 동시에 들릴 수 있게 만들었다. (최종 전시에서는 프로젝터/벽 스크린과 노트북을 같이 사용하여 두 개의 화면을 가지고 있었으며, 벽 스크린의 좌우 스피커에서 스테레오 사운드가 분리되어 나오고, 앞에 놓여진 노트북에서 나머지 하나의 사운드가 나옴으로써 세 개의 소리를 가지고 있었다.)
애플의 소프트웨어들은 전문가들은 물론 비전문가들도 갈수록 쉽게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가는 것 같다. 이 말은 앞으로의 예술은 갈수록 전문적으로 숙달된 테크닉 보다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좌우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얘기가 아닐까 싶다. (물론, 소프트웨어를 익히는 시간은 필요하겠지만, 실제 악기들을 그 만큼 다룰 수 있게 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에 비하면 훨씬 짧을 것이다.) 전문가들에게는 큰 위협이 아닐 수 없는 얘기지만, 이러한 경향은 예술의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.
PS.
매킨토시 실습실에는 PC와 Mac(매킨토시)에 관한 4컷 만화가 하나 붙어 있었다.
PC가 Mac을 부러워하며 말했다.
PC “난 넘쳐나는 바이러스와 해킹 땜에 죽겠어. 넌 그런 문제가 없어서 참 좋겠구나.”
그러자 Mac이 말했다.
Mac “난 굳이 그럴 필요가 없거든. 나 자체가 문제니까.”
PC “……”
(주: 매킨토시는 뛰어난 소프트웨어들에도 불구하고, 자체적인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)
'ru_happ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쇼를 하라, '쇼바이벌' (2) | 2007.08.17 |
---|---|
SKOOB, 책을 뒤집어 보다. (8) | 2007.08.08 |
애플 예찬 1: 비디오 작업 (1) | 2007.07.31 |
Auckland Festival of Photography & Crash (0) | 2007.07.31 |
Numb3rs (0) | 2007.07.31 |